Don't Hate Windows!

📚 총 57개 글 2023년 2월 - 2025년 6월
2

윈도우 창 아무 곳이나 클릭해서 옮기기 (AutoHotKey 활용)

AutoHotKey를 사용하여 윈도우에서 창을 제목 표시줄이 아닌 아무 곳에서 클릭하여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utoHotKey 설치, 스크립트 작성 및 실행 방법을 안내하며, 시작 시 자동 실행 설정 방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 맞춤형 스크립트를 통해 윈도우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아주 가벼운 윈도우를 사용해보자!

Ghost Spectre Windows 11 Pro는 가벼운 윈도우 운영 체제로, 2024 업데이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련 링크와 이미지가 제공됩니다.

4

윈도우 RDP 30FPS 제한 풀기

원격 세션에서 프레임 속도가 30FPS로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링크들이 제공됩니다. 60FPS로 변경하는 방법과 관련된 테스트 결과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5

윈도우 부팅시 핫스팟 자동 실행

윈도우11 시작 시 모바일 핫스팟을 자동으로 실행하려면, 시작 폴더에 두 개의 파일을 넣어야 하며, 이를 위해

6

Hooking - 윈도우원격 데스크톱은 어떻게 모든 키를 원격으로 전달할까?

Windows 원격 데스크톱의 키 후킹 기술은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키 입력을 저수준에서 가로채어 원격 세션으로 전달하여, 전체 화면 모드와 시스템 단축키를 정확히 처리합니다. 후킹 API를 사용해 키 입력을 캡처하고 원격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Ctrl+Alt+Del과 Alt+Tab 같은 특수 키가 로컬 OS에 가로채이지 않고 원격 세션에서 처리됩니다. 이 기술은 사용자 경험과 보안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원격 환경에서도 로컬 환경과 동일한 키보드 반응성을 제공합니다.

7

Arm 윈도우 노트북 덮개 덮어두면 왜 자꾸 꺼지는겨?

노트북 덮개를 닫았다 열면 시스템이 절전 모드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문제는 최신 윈도우 업데이트로 해결되었다. 문제의 원인은 퀄컴 관련 드라이버와 ACPI의 상호작용 결함으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였으나 결국 업데이트 하나로 해결된 경험을 통해 시스템의 작동 원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게 되었다.

8

ARM windows를 Azure 에 VM으로 설치해보자

ARM Windows를 Azure에 VM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로, 동아시아 지역을 설정하여 적절한 저장 크기를 지정하고 RDP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9

Windows11 ssh 서버 열기

OpenSSH 서버를 시작하려면 서비스 목록에서 "OpenSSH SSH Server"를 찾아 시작하고, Windows 방화벽에서 SSH 포트(22번)를 열어야 합니다. 또한, Open SSH Server를 자동 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10

Windows 를 steam머신으로 만들어보자

윈도우 PC를 스팀 머신처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로, 스팀 자동 실행, 빅픽처 모드 활성화, 윈도우 쉘 변경, 자동 로그인 설정을 포함합니다. 스팀 머신의 장점은 간편한 설정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이며, 단점은 스팀 OS용 게임 부족입니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 PC 게임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11

preme for windows - 윈도우에서도 슬라이드 오버 기능을 사용해보자

Windows용 Preme의 터치슬라이드 기능을 사용하여 창을 항상 위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GlazeWM과의 충돌을 피하려면 Preme를 먼저 실행하고, 사용할 프로세스를 GlazeWM 구성의 무시 목록에 등록해야 합니다. 다운로드 링크와 사용 방법에 대한 주의사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2

komorebi - 윈도우 타일링 시스템

윈도우 타일링 시스템인 komorebi의 설치 방법은 Scoop을 통해 komorebi와 whkd를 설치하는 것이며, 제거할 때는 프로세스를 중지한 후 Scoop 또는 WinGet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습니다. 예제 구성은 제공된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

카카오톡 자동시작 해제

윈도우 10에서 카카오톡 자동 실행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와 관련 링크가 제공됩니다.

14

윈도우11 블루투스 연결 끊김 해결

Bluetooth 연결 끊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치관리자에서 Bluetooth HID 장치의 자동종료를 해제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17

윈도우 바탕화면 날짜 위젯 추가

Rainmeter를 설치한 후, Mond Rainmeter 테마를 포함한 GitHub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Windows 바탕화면에 날짜 위젯을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19

윈도우 터미널 레트로 글로우 효과

윈도우 터미널에서 레트로 글로우 효과를 설정하는 방법은 ctrl + shift + p를 눌러 설정을 열고, 기본값에서 모양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20

oh my zsh - 플러그인 (자동완성,구문강조 등)

oh-my-zsh의 구문 강조 및 자동 완성 플러그인 설치 방법을 설명합니다. 구문 강조는 사용 가능한 명령어를 색상으로 구분해 보여주며, 자동 완성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제안합니다. 설치는 간단하며, .zshrc 파일에 플러그인을 추가하고 터미널을 재시작하면 적용됩니다.

21

oh my posh 윈도우 터미널 커스터마이징

Oh My Posh를 윈도우 터미널에 설치하고 커스터마이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Scoop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Nerd Font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Powershell에서 테마를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테마 적용을 위해 $PROFILE 파일을 수정하는 과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2

윈도우 트랙패드 제스처 사용자 설정

윈도우에서 애플 매직 트랙패드를 사용하기 위해 트랙패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제스처 사용자 지정을 위한 키 등록 방법을 설명합니다. choco를 사용하면 커맨드로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23

윈도우 마우스 커서 MAC처럼 변경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맥 OS 마우스 커서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어 설치한 후, 마우스 속성에서 새로운 커서를 선택하여 적용하면 됩니다.

25

RoundedTB - 윈도우 작업표시줄

태스크바를 이쁘게 꾸미기 위한 RoundedTB 커스터마이징 방법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최신 버전은 GitHub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6

읜도우 FanControl을 통해 팬속 조절

FanControl을 사용하여 팬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관련 링크와 동영상도 참고할 수 있습니다.

27

레딧 유저의 윈도우 세팅 like macOS

윈도우를 macOS처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간단한 앱과 멋진 추가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28

GlazeWM 을 활용한 win키 비활성화

LWin 키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추가했지만, 이로 인해 다른 Win 핫키가 완전히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 나은 방법을 찾고 있다.

30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scoop 설치

Windows에서 Scoop 패키지 관리자를 설치하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을 열고 실행 정책을 RemoteSigned로 설정한 후, 설치 명령을 실행해야 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Scoop이 성공적으로 설치되며, 'scoop help'를 입력하여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1

윈도우 터미널 투명하게

윈도우 터미널의 투명도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과 포커스 모드 설정 방법이 포함되어 있으며,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키면 투명도가 복원될 수 있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설정 JSON에서

32

윈도우 탐색기 투명하게

Ctrl + Mouse 3을 사용하여 윈도우의 투명도를 조절하고, Win + Mouse 3으로 원래 상태로 복원할 수 있으며, 오토핫키를 통해서도 창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모든 배경화면을 투명하게 만드는 방법도 가능하다.

33

WSL2을 GUI로 사용하자

WSL2에서 systemd를 활성화하여 최고의 Ubuntu GUI 데스크탑 경험을 얻는 방법에 대한 안내입니다.

34

레지스트리 적용 팝업 끄기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System 경로로 이동하여 ConfirmFileOperations 키를 REG_DWORD 형식으로 만들고 값을 0으로 설정하면 레지스트리 파일 실행 시 팝업이 뜨지 않습니다. 배치파일을 사용하여 직접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35

PowerToys 키보드 매니저 배치파일 제작

PowerToys 키보드 매니저를 위한 배치파일 제작 방법을 설명하며, 소스 및 타겟 디렉토리를 설정하고,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와 관리자 권한 요청을 위한 스크립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36

해킨토시 - 윈도우 랩탑에 MAC OS 설치

윈도우 랩탑에 MAC O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로, 해킨토시 설치를 위한 다양한 방법과 리소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부품 선택, 웹 검색, 해외 가이드를 참고하여 설치를 진행할 수 있으며, DELL XPS 13 9360 및 Lenovo T480과 같은 특정 모델에 대한 설치 팁과 링크도 포함되어 있다.

37

윈도우 게임바 완전 제거

윈도우11의 Xbox Game Bar를 비활성화하고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관련 링크도 제공됩니다.

38

변태 키배열 만들기

윈도우 + L 조합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AutoHotkey를 설치하고, 특정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키 배열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PowerToys의 키배열 설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39

PowerToys 잡버그 잡기 똥꼬쇼

키보드 핫키 버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lt + U와 O를 사용하여 맵핑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특정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는 버그를 언급합니다. 버전 0.75.1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버전 다운그레이드로도 해결되지 않으며, 0.74.1로 다운그레이드할 경우 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41

윈도우 Ctrl ←→ CapsLock 바꾸기

윈도우에서 Ctrl 키와 Caps Lock 키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여

42

C드라이브 관리자권한 끄기

윈도우 C 드라이브에서 관리자 권한 요구를 없애기 위해 레지스트리에서 해당 권한을 끄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키맵핑으로 인한 잡버그 문제도 언급됩니다.

43

윈도우 win + 특정 키 비활성화 하기

Windows 키 조합으로 실행되는 단축키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은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통해 특정 키를 제거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regedit을 열고, DisabledHotkeys 문자열 값을 추가하여 원하는 단축키를 입력하면 된다. 이후 재부팅하면 설정이 적용된다.

44

윈도우 win + L 비활성화 하기

Windows에서 "Win + L" 단축키를 비활성화하려면 레지스트리 편집이 필요하며,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 경로로 이동하여 "System" 키를 생성하고 "DisableLockWorkstation" 값을 1로 설정해야 합니다. 전체 Win + 키 단축키를 비활성화하려면 "Explorer" 키를 생성하고 "NoWinKeys" 값을 1로 설정하면 됩니다. 변경 후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로그오프해야 합니다.

45

윈도우 파일탐색기 재시작 배치파일 제작

윈도우 파일 탐색기를 재시작하는 배치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작업표시줄이 먹통이 될 때마다 작업관리자를 이용하는 대신, 배치파일을 통해 간편하게 재시작할 수 있도록 코드를 제공하고, 이를 단축키에 등록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46

PowerToys 재시작 배치파일 제작

파일 탐색기 재시작을 위한 배치파일을 만들기 위해 관리자 권한을 요청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PowerToys를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바탕화면에 배치파일을 두고 숨김 처리하면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7

윈도우 iCloud 자소분리현상 해결

윈도우용 아이클라우드 한글 파일 자소 분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동 변경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다운로드 링크가 제공됩니다.

48

윈도우 랩탑 배터리 개선

윈도우 랩탑의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기 위한 팁을 제공하는 가이드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9

윈도우 폰트 MAC처럼 변경

윈도우에서 폰트를 맥과 리눅스처럼 변경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합니다. MacType을 사용하여 폰트 렌더링 엔진을 FreeType으로 바꾸고, noMeiryoUI를 통해 시스템 폰트를 변경합니다. Pretendard 폰트를 사용하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ini 파일을 설정하여 렌더링을 조정하는 방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특정 프로그램에서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브라우저에서의 폰트 적용 방법도 안내합니다.

52

WinXConers - 윈도우에서 핫코너 사용

윈도우에서 핫코너 기능을 사용하여 트랙패드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지만, 2019년 이후 업데이트가 중지되었고 다중 모니터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시작 시 자동 실행 설정 방법도 안내합니다.

53

Windows WSL2 Vmmem RAM 점유율 해결방법

WSL2의 Vmmem RAM 점유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wslconfig 파일을 생성하고 메모리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WSL2는 RAM을 최대한 활용하는 리눅스의 특성으로 인해 과도한 메모리 점유가 발생하며, 이를 조정하기 위해 메모리 최대값을 설정하고 swap 기능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54

Windows WSL2 초기세팅

윈도우에서 WSL2를 설치하기 위해 PowerShell에서 "wsl --install" 명령어를 입력하고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설치 후, 리눅스에서 윈도우 파일에 접근할 수 있으며, 리눅스에서 생성한 파일은 윈도우에서 수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파이썬은 윈도우 스토어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55

윈도우10 & 11 작업표시줄 꾸미기

윈도우 10과 11의 작업표시줄을 꾸미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CPU 및 메모리 사용량 표시를 위한 XMeters, 메모리 최적화를 위한 Wise Memory Optimizer, 작업표시줄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7+ Taskbar Tweaker, 24시간 표기 변경, 작업표시줄 오른쪽 고정 및 우클릭 메뉴 스타일 변경 방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6

Docker.socket은 왜 항상 실행되어야 하는가?

Docker 소켓은 Docker 명령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항상 활성 상태여야 하며, 이를 통해 Docker 데몬이 필요할 때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소켓이 활성화되면 사용자가 매번 수동으로 서비스를 시작할 필요 없이 Docker 명령을 신속하게 실행하고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57

아이패드를 위한 윈도우 해상도 고정

레지스트리를 수정하여 아이패드의 해상도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로, M1 아이패드의 해상도는 2388 x 1668이며, 특정 레지스트리 경로에서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