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logy NAS
Synology NAS
Summary 외부 포트오픈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Tailscale을 이용해 서버를 운영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Oracle Cloud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내부 서비스용 서버와 연결하고, NPM을 통해 프록시 설정을 간단히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NAS와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s://svrforum.com/svr/1041144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가이드는 외부 포트오픈이 안되는 환경(인터넷은 되야합니다)에서 서버를 구축해서 운영하는방법 2탄입니다.
기본적으로 홈서버를 운영할때는 포트포워딩을 통해서 내부서버에 트래픽을 연계해서 연결하는방식을 주로 사용하는데요.
(반대로 외부에 집 공인 IP를 노출하기 싫을때)
통신사의 환경이나 공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이러한 포트포워딩이 불가능하고 그런경우에 외부에서 접속할 방법이 막막해집니다.
앞서 Cloudflare Tunnel을 이용한 방법은 소개해드렸고 이번에는 Tailscale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ㅎ
Tailscale을 이용한 방법이니 Tailscale에 대해서 알아야겠죠?
이것도 이전에 쓴글이 있으니..
구성환경
Oracle Cloud 인스턴스
내부 서비스용 서버
DNS를 Oracle 서버로 연결
모두 Tailscale이 설치되고 연결되어있어야합니다.
구성방법
구성은 간단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Client의 요청을 받아주고 Tailscale로 연결된 내부 VM으로 프록시해주면됩니다!
쉽죠?
아래 과정으로 NPM을 구성해주세요.
그리고 나서 내부 서비스용 tailscale ip를 확인해줍니다.
오라클클라우드에서 아래처럼 ping이 잘되면 통신도 잘되는것 입니다.
이제 npm으로 프록시만 잘해주면 되겠죠?
연동하기
연동은 매우쉽습니다 ㅎ
NPM에서 새로운 프록시를해주시면 되는데요.
Foward IP만 아래처럼 Tailscale ip를 넣어주시면됩니다.
그리고나서 연결해보면 짠! 잘됩니다.
잘 응용하시면 NAS도 연결가능하고 여러가지로 활용가능하니~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댓글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남겨보세요. GitHub 로그인
🔧 댓글 시스템 설정이 필요합니다
GitHub Discussions 기반 댓글 시스템을 활성화하려면:
GISCUS_SETUP_GUIDE.md
파일의 안내를 따라 설정 완료Repository 관리자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모든 방문자가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