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 RDP + JumpDesktop 를 이용한 리눅스 원격 환경 구성

Linux + RDP + JumpDesktop 를 이용한 리눅스 원격 환경 구성

Summary RDP를 통해 리눅스 XFCE 데스크탑 환경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Xorg, XRDP, XFCE 설치 및 설정, GNOME 원격 설정 비활성화, 방화벽 설정, Jump Desktop 및 Windows 원격 데스크탑 클라이언트 설정을 포함하여 문제 해결 방법도 안내합니다.


Image

RDP를 이용한 XFCE 환경의 원격 데스크탑 구축기

이 튜토리얼에서는 Xorg, XRDP, XFCE를 사용하여 RDP를 통해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에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또한, Jump Desktop과 같은 클라이언트를 활용하여 연결하는 과정까지 다룹니다.

준비 사항

  • 리눅스 호스트 (예: Ubuntu, Pop!_OS)
  • 원격 접속 클라이언트 (예: Windows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 macOS의 Jump Desktop)
  • 관리자 권한이 있는 사용자 계정

1. Xorg 및 XFCE 설치

XFCE는 가벼운 데스크탑 환경으로 원격 접속 시 성능이 우수합니다. Xorg는 그래픽 서버로 필수 구성 요소입니다.

1.1 패키지 업데이트 및 설치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1
2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xfce4 xfce4-goodies xorg

설치 도중 몇 가지 옵션이 표시될 수 있으니 기본값을 선택하세요.


2. XRDP 설치 및 설정

XRDP는 리눅스에서 RDP를 지원하는 서버 소프트웨어입니다.

2.1 XRDP 설치

1
sudo apt install xrdp -y

2.2 XRDP 서비스 활성화

XRDP를 시스템 시작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합니다:

1
2
sudo systemctl enable xrdp
sudo systemctl start xrdp

2.3 XRDP 서비스 상태 확인

정상적으로 실행 중인지 확인합니다:

1
sudo systemctl status xrdp

출력 결과에 active (running)이 표시되면 XRDP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3. XRDP와 XFCE 연동 설정

XRDP가 XFCE 데스크탑 환경을 실행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3.1 시작 스크립트 수정

/etc/xrdp/startwm.sh 파일을 수정합니다:

1
sudo nano /etc/xrdp/startwm.sh

파일의 맨 아래에 다음 줄을 추가합니다:

1
startxfce4`

이후 Ctrl + O, Ctrl + X를 눌러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3.2 사용자 환경 설정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xsession 파일을 생성하고 XFCE를 지정합니다:

1
echo "xfce4-session" > ~/.xsession

이제 XRDP를 통해 접속 시 XFCE 데스크탑 환경이 실행됩니다.


4. GNOME 원격 설정 비활성화 (중요)

Pop!_OS 또는 Ubuntu GNOME 환경에서 원격 설정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XRDP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비활성화하려면 다음을 수행합니다:

4.1 GNOME 원격 설정 비활성화

1
2
sudo systemctl stop gnome-remote-desktop
sudo systemctl disable gnome-remote-desktop

4.2 서비스 비활성화 확인

1
sudo systemctl status gnome-remote-desktop

출력 결과에 inactive (dead)가 표시되면 GNOME 원격 설정이 비활성화된 것입니다.


5. 방화벽 설정 (선택 사항)

리눅스 방화벽(UFW)을 사용하는 경우 XRDP 포트(기본 3389)를 허용해야 합니다:

1
2
sudo ufw allow 3389/tcp
sudo ufw reload

6. 원격 데스크탑 클라이언트 설정

이제 RD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XFCE 데스크탑 환경에 원격 접속합니다.

6.1 Jump Desktop 설정 (macOS/Windows)

  1. Jump Desktop을 설치합니다 (https://jumpdesktop.com).
  2. 새로운 RDP 연결을 추가하고 다음 정보를 입력합니다:
  • IP 주소: 리눅스 호스트의 IP 주소
  • 포트: 3389
  • 사용자 이름: 리눅스 계정 사용자 이름
  • 비밀번호: 리눅스 계정 비밀번호
  1. 연결을 저장하고 접속합니다.

6.2 Windows 원격 데스크탑 설정

  1. Windows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 프로그램을 엽니다.
  2. 컴퓨터 필드에 리눅스 호스트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3.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한 후 연결합니다.

7. 접속 및 테스트

위의 설정이 완료되면 Jump Desktop이나 RDP 클라이언트를 통해 XFCE 환경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 접속 시 XFCE 데스크탑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면 성공입니다.
  • 만약 화면이 검거나 터미널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XRDP 로그를 확인하세요:
1
2
sudo journalctl -u xrdp
sudo journalctl -u xrdp-sesman

8. 문제 해결

8.1 빈 화면 또는 세션 충돌

  • 로컬 세션이 열려 있으면 원격 접속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로컬 세션을 로그아웃한 후 접속하세요.

8.2 XRDP 세션 강제 종료

XRDP 세션이 중복되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 강제로 종료합니다:

1
pkill -u 사용자명

8.3 커서 문제 해결

원격 접속 시 커서가 비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1
2
xfconf-query -c xsettings -p /Gtk/CursorThemeName -s "Adwaita"
xfconf-query -c xsettings -p /Gtk/CursorThemeSize -s 24

마무리

이제 XRDP와 XFCE를 통해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Jump Desktop과 같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면 성능이 우수하고 연결이 간편합니다. 문제가 발생할 경우 로그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설정을 조정해 보세요.


참고 자료

💬 댓글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남겨보세요. GitHub 로그인

🔧 댓글 시스템 설정이 필요합니다

GitHub Discussions 기반 댓글 시스템을 활성화하려면:

  1. Giscus 설정 페이지에서 설정 생성
  2. GISCUS_SETUP_GUIDE.md 파일의 안내를 따라 설정 완료
  3. Repository의 Discussions 기능 활성화

Repository 관리자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모든 방문자가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