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구형 키보드 펌웨어 변조
IBM 구형 키보드 펌웨어 변조
Summary 구형 IBM 키보드에서
https://www.reddit.com/r/thinkpad/comments/ondeco/how_to_swap_the_fn_ctrl_keys_on_the_sk8845_sk8835/
https://www.clien.net/service/board/lecture/16863202
https://forum.thinkpads.com/viewtopic.php?t=120571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1988692
🔗 https://blog.naver.com/wreg/221854068812
🔗 https://m.blog.naver.com/wreg/220962115688
구형 IBM 키보드에서 Fn
키를 Ctrl
키로, Ctrl
키를 Win
키로 재매핑하고자 하시는군요. 이러한 키 재매핑은 Windows 레지스트리의 Scancode Map
항목을 수정하여 가능합니다. 그러나 Fn
키는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소프트웨어적으로 재매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Ctrl
키를 Win
키로 변경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regedit
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2. 레지스트리 경로 이동:다음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3. **Scancode Map**
값 생성:
오른쪽 빈 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새로 만들기
>이진 값
을 선택합니다.새로운 값의 이름을
Scancode Map
으로 지정합니다. 4.**Scancode Map**
값 편집:Scancode Map
값을 더블 클릭하여 편집 창을 엽니다.아래의 이진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
|
데이터 설명:
첫 번째 줄과 마지막 줄은 헤더와 종료를 나타내며, 고정된 값입니다.
두 번째 줄의
02 00 00 00
은 매핑할 키의 개수 + 1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한 개의 키를 매핑하므로02
입니다.세 번째 줄의
5B E0 1D 00
은 왼쪽Ctrl
키(1D 00
)를 왼쪽Win
키(5B E0
)로 매핑한다는 의미입니다. 5. 레지스트리 편집기 종료 및 시스템 재부팅:모든 작업을 완료한 후,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고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왼쪽
Ctrl
키를Win
키로 재매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것처럼,Fn
키는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소프트웨어적인 재매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Fn
키의 재매핑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나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서만 가능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레지스트리를 직접 수정하는 것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변경 전에 반드시 레지스트리 백업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레지스트리 백업 및 복원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키 매핑을 보다 쉽게 수행하기 위해 SharpKeys와 같은 타사 유틸리티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키 매핑 작업을 간소화합니다.
마지막으로, 키 매핑에 대한 시각적인 가이드를 원하신다면,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videoHow to Remap Keyboard Keys in Windows 10/11turn0search11
이 영상은 Windows 10 및 11에서 키 매핑을 변경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위의 방법들을 시도해 보시고, 원하는 키 매핑을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SK-8845 키보드에서 Fn 키를 Win 키로 맵핑하는 방법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PowerToys 제외한 방법을 정리합니다.
1. BIOS 설정을 통한 Fn 키 기능 변경
- SK-8845 키보드는 일부 레노버/씽크패드 제품과 유사한 BIOS 설정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2. 전용 유틸리티 활용 (레노버 공식 도구)
- 레노버 제공 키보드 설정 유틸리티 사용:
3. KeyTweak 또는 레지스트리 편집
- KeyTweak 프로그램으로 Fn 키를 Win 키로 재할당:
4. AutoHotkey 스크립트 작성
- Fn 키를 Win 키로 변환하는 스크립트 예시:
|
|
5. 키보드 하드웨어 딥스위치 확인
- 일체형 키보드의 경우 딥스위치(DIP Switch) 로 Fn 키 기능 변경 가능 여부 확인(출처21).
- 키보드 하단 또는 측면에 위치한 스위치 조합으로 Win 키 활성화.
요약
| 방법 | 장점 | 단점 | | BIOS 설정 | 안정적 | 옵션 유무 확인 필요 | | 전용 유틸리티 | 공식 지원 | SK-8845 호환성 확인 필수 | | KeyTweak | 즉시 적용 가능 | 관리자 권한 필요 | | AutoHotkey | 유연한 커스터마이징 | Fn 키 입력 감지 여부에 따라 제한 |
🔍 추천 순서: BIOS/유틸리티 → KeyTweak → AutoHotkey → 하드웨어 스위치 확인
출처: (출처3)(출처5)(출처7)(출처8)(출처16)(출처17)(출처19)(출처20)(출처21)
Fn 키가 하드웨어 수준에서 작동할 때의 해결 방안
Fn 키가 하드웨어/펌웨어 레벨에서 처리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기반 재맵핑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다음 방법으로 우회적 해결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1. BIOS/UEFI에서 Fn ↔ Ctrl 키 스왑 후 Ctrl을 Win 키로 재맵핑
- Fn 키를 Ctrl 키로 먼저 변경:
2. 키보드 DIP 스위치 활용 (하드웨어 레벨)
- DIP 스위치로 Fn 키 동작 변경:
- 키보드 하단 또는 측면에 위치한 DIP 스위치 조합을 통해 Fn 키 기능을 Win 키로 변경.
- 예: 시노비 키보드의 경우 DIP 스위치로 Fn/Ctrl 스왑 후 추가 설정 가능.
- 확인 방법: 제품 매뉴얼 또는 제조사 지원 문의.
3. 외부 컨트롤러 또는 프로그래머블 키보드 활용
- 커스텀 PCB 또는 컨트롤러 장착:
- 아두이노, QMK/VIA 지원 컨트롤러를 키보드에 연결해 Fn 키 입력을 Win 키로 변환.
- 전제 조건: 키보드 분해 및 납땜 기술 필요.
4. Fn 키 조합 + 다른 키를 Win 키로 대체
- AutoHotkey로 Fn 조합 키 설정:
|
|
- 한계: Fn 키 단독 입력은 여전히 불가능하며, 반드시 다른 키와 조합해야 합니다.
5. 물리적 하드웨어 개조 (극단적 방법)
- 키보드 회로판 직접 수정:
- Fn 키와 Win 키의 전기적 신호 라인을 교체합니다.
- 위험성: 키보드 고장 가능성이 높으며, 전문 지식과 장비 필요(출처34).
요약: 방법별 비교
| 방법 | 실행 난이도 | 안정성 | 비고 | | BIOS + 소프트웨어 재맵핑 | 중간 | 높음 | BIOS 옵션 확인 필수 | | DIP 스위치 | 낮음 | 높음 | 하드웨어 지원 필요 | | 외부 컨트롤러 | 매우 높음 | 중간 | 기술력 요구 | | AutoHotkey 조합 키 | 낮음 | 낮음 | Fn 단독 사용 불가 | | 물리적 개조 | 매우 높음 | 낮음 | 고장 위험 |
🔍 추천 순서:
💬 댓글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남겨보세요. GitHub 로그인
🔧 댓글 시스템 설정이 필요합니다
GitHub Discussions 기반 댓글 시스템을 활성화하려면:
GISCUS_SETUP_GUIDE.md
파일의 안내를 따라 설정 완료Repository 관리자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모든 방문자가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