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ora 초기 설정 모음집
Summary
Fedora 초기 설정을 위한 가이드로, 설치 후 해야 할 작업, 추천 프로그램 목록, DNF와 Flatpak의 차이, 사용자 정의 키 매핑 도구, 윈도우 타일링 및 다양한 시각적 효과 설정 방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GNOME 환경에서의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확장 기능도 소개됩니다.
🔗 https://codedragon.tistory.com/3699
Setting
🔗 https://youtu.be/KSglGG8_PoE?si=7ySCLR0GJwoDoOTm
과정
1
| sudo gnome-text-editor /etc/dnf/dnf.conf
|
1
2
3
4
5
| clean_requirements_on_remove=True
best=False
skip_if_unavailable=True
max_parallel_downloads=10
fastestmirror=True
|
1
| sudo dnf install https://download1.rpmfusion.org/free/fedora/rpmfusion-free-release-$(rpm E %fedora).noarch.rpm
|
1
| sudo dnf install https://download1.rpmfusion.org/free/fedora/rpmfusion-nonfree-release-$(rpm E %fedora).noarch.rpm
|
1
| sudo dnf upgrade --refresh
|
1
| sudo dnf groupupdate core
|
1
| sudo dnf install dnf5 dnf5-plugins
|
Firmware
1
| sudo fwupdmgr refresh --force
|
1
| sudo fwupdmgr get-updates
|
Gnome Tweaks?
1
| sudo dnf install gnome-tweaks
|
Lapop User only
1
| sudo dnf install tlp tlp-rdw
|
🔗 https://youtu.be/01tFhnlA-5I?si=6ecUbjPfGfBWgpt8
🔗 https://youtu.be/a3ePEjpg3lU?si=OWbvNDf_Ic58ZBka
🔗 https://www.youtube.com/watch?v=te1AEj_RA64
grubby (faile)
1
| sudo rpm-ostree upgrade
|
1
| grubby --args="radeon.si_support=0 amdgpu.si_support=1" --update-kernel=ALL
|
Package
🔗 https://copr.fedorainfracloud.org/coprs/the4runner/firefox-dev/
🔗 https://snapcraft.io/install/notion-snap-reborn/fedora#install
🔗 https://docs.fedoraproject.org/en-US/quick-docs/installing-chromium-or-google-chrome-browsers/
🔗 https://snapcraft.io/install/icloud-for-linux/fedora#install
🔗 https://www.linuxcapable.com/how-to-install-github-desktop-on-fedora-linux/
🔗 https://support.parsec.app/hc/en-us/articles/4422904998413-Install-Parsec-App-on-Linux
🔗 https://snapcraft.io/install/figma-linux/fedora
추천 프로그램 목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네, Fedora 40을 새로 설치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다음은 설치하면 유용할 만한 애플리케이션들입니다:
1. GNOME Tweaks - GNOME 데스크탑 환경을 사용자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2. RPM Fusion - Fedora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미디어 코덱, 드라이버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서드파티 저장소입니다.
3. VLC Media Player - 다양한 미디어 파일 포맷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미디어 플레이어입니다.
4. LibreOffice -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등 오피스 제품군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입니다.
5. GIMP - 강력한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그래픽 편집기입니다.
6. Thunderbird - 이메일, 뉴스그룹, RSS 피드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이메일 클라이언트입니다.
7. Firefox - 모질라에서 개발한 빠르고 안전한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입니다.
8. Transmission - 가볍고 사용하기 쉬운 BitTorrent 클라이언트입니다.
9. Flatpak -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입니다.
10. Stacer - 시스템 최적화, 모니터링 및 청소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관리 도구입니다.
11. **flameshot** - 스크린샷 플러그인?
이 애플리케이션들은 대부분 Fedora 리포지토리 또는 Flatpak을 통해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설치해 보시기 바랍니다.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Reddit의 Fedora 서브레딧에서 자주 추천되는 필수 앱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NOME Tweaks** - GNOME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자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2. **Extension Manager** - GNOME 셸 확장 기능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3. RPM Fusion - Fedora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미디어 코덱, 드라이버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서드파티 저장소입니다.
4. DNF - Fedora의 패키지 관리자로, 명령줄에서 패키지를 검색, 설치, 업데이트, 제거할 수 있습니다.
5. Timeshift - 시스템 스냅샷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백업 도구입니다.
6. **Flatpak** - 샌드박스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입니다.
7. Visual Studio Code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강력한 코드 에디터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합니다.
8. **Flatseal** - Flatpak 애플리케이션의 권한을 관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9. Foliate - 사용하기 쉬운 전자책 리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10. Fedora Media Writer - Fedora 설치 미디어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러한 앱들은 Fedora 사용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으며, 시스템 관리, 개발,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물론 개인의 필요와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물론이죠! 추가로 Fedora 사용자들이 자주 추천하는 필수 앱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1. Neofetch - 시스템 정보를 터미널에 멋지게 표시해주는 도구입니다.
12. Htop -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로, 프로세스 관리와 시스템 리소스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 Tilix - 강력한 기능을 갖춘 터미널 에뮬레이터로, 탭과 분할 화면 기능을 제공합니다.
14. Neovim - Vim 텍스트 에디터의 개선된 버전으로, 강력한 플러그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15. Powerline - 터미널과 Vim 에디터에 멋진 상태 표시줄을 추가해주는 도구입니다.
16. **Ulauncher** -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런처입니다.
17. Boxes - 가상 머신을 간편하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GNOME 기반의 가상화 도구입니다.
18. **Nextcloud** - 오픈소스 클라우드 스토리지 플랫폼으로, Fedora에서 개인용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19. Joplin - Markdown 기반의 오픈소스 노트 taking 앱으로,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합니다.
20. Blender - 강력한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렌더링 도구로,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이 외에도 많은 유용한 앱들이 있지만, 위에 소개한 앱들은 Fedora 사용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앱들을 활용하면 Fedora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페도라 런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Reddit의 Fedora 커뮤니티에서 자주 추천되는 런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GNOME 기본 런처
- Fedora의 기본 데스크톱 환경인 GNOME에 내장된 런처로,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2. Ulauncher
-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런처로, 사용자 정의 테마와 플러그인을 지원하여 높은 사용자 정의성을 제공합니다.
3. Albert
- 빠르고 가벼운 런처로, 사용자 정의 가능한 핫키와 테마를 지원합니다.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4. Cerebro
- Electron 기반의 오픈소스 런처로, 사용자 정의 플러그인과 테마를 지원하여 높은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5. Synapse
- Zeitgeis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기반으로 관련 항목을 제안하는 런처입니다.
6. Kupfer
- Python으로 작성된 가벼운 런처로, 플러그인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7. Rofi
- 가볍고 사용자 정의 가능한 런처로, 키보드 중심의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며 스크립팅 기능도 지원합니다.
이러한 런처들은 모두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Fedora 사용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습니다. 각 런처는 고유한 기능과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본 GNOME 런처로도 충분하지만, 더 많은 기능과 사용자 정의 옵션을 원한다면 위의 런처들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DNF 하고 Flatpak 차이
1
2
3
4
| DNF(Dandified YUM)와 Flatpak은 모두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지만, 그 접근 방식과 목적에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DNF (Dandified YUM):- Fedora,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CentOS 등 RPM 기반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시스템 전역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며, 패키지 간 의존성을 관리합니다.- 배포판 특정 패키지를 제공하며, 배포판 개발자가 관리하고 유지보수합니다.- 시스템 업데이트, 업그레이드, 보안 패치 등을 처리합니다.
Flatpak:-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패키지 관리 시스템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샌드박스 환경에서 실행하여 시스템의 다른 부분과 격리시킵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직접 Flatpak 패키지를 제공하고 관리합니다.-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배포판에 관계없이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가 시스템 업데이트와 별개로 이루어집니다.
요약하면, DNF는 시스템 전반의 패키지와 의존성을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Flatpak은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의 독립성과 이식성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두 패키지 관리 시스템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Rice를 위한 프로그램 목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Fedora에서 데스크톱 환경을 꾸미는 작업인 "Ricing"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고 필요한 도구를 설치해야 합니다.
1. 데스크톱 환경 선택
- GNOME (Fedora의 기본 데스크톱 환경)
- KDE Plasma
- Xfce
- i3, bspwm, awesomewm 등의 타일링 윈도우 매니저
2. 테마와 아이콘 팩
- GNOME-Look, KDE-Look 등에서 데스크톱 환경에 맞는 테마와 아이콘 팩을 찾아 설치합니다.
- 테마 관리 도구: GNOME Tweaks, Kvantum Manager 등
3. 터미널 에뮬레이터와 셸
- Alacritty, Kitty, Terminator 등의 터미널 에뮬레이터
- Zsh, Fish 등의 셸과 Oh-My-Zsh, Oh-My-Fish 등의 셸 프레임워크
4. 상태 표시줄과 시스템 모니터
- Polybar, i3status, i3blocks 등의 상태 표시줄
- Conky, btop, gtop 등의 시스템 모니터
5. 애플리케이션 런처
- Rofi, dmenu, Albert 등의 애플리케이션 런처
6. 글꼴
- Nerd Fonts, Powerline 글꼴 등 터미널과 상태 표시줄에 적합한 글꼴 설치
7. 배경 화면과 디스플레이 관리자
- Feh, Nitrogen 등의 배경 화면 관리 도구
- LightDM, SDDM 등의 디스플레이 관리자와 그에 맞는 그리터 테마
8. Ricing 관련 도구
- Pywal: 배경 화면을 기반으로 색상 팔레트를 생성하고 적용하는 도구
- Wpgtk: Pywal과 유사한 도구로, 배경 화면과 테마를 연동할 수 있습니다.
9. 도트파일 관리
- GitHub, GitLab 등에 도트파일 저장소를 만들어 설정을 관리하고 공유합니다.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는 도구와 테마를 선택하고 설치하면 Fedora에서 멋진 데스크톱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Ricing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지만, 자신만의 독특한 데스크톱 환경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
키맵핑 프로그램
1
2
3
4
5
6
| Fedora에서 사용자 정의 키 매핑을 도와주는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Autokey - Autokey는 Python 기반의 데스크톱 자동화 유틸리티로, 키 매핑, 텍스트 확장, 스크립트 실행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GUI와 CLI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하며, 사용자가 Python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설치 방법: `sudo dnf install autokey-gtk`
2. Keybinder - Keybinder는 사용자 정의 키 바인딩을 설정할 수 있는 간단한 유틸리티입니다. - 특정 키 조합에 명령어나 스크립트를 할당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전역에서 동작합니다. - 설치 방법: `sudo dnf install keybinder`
3. sxhkd - sxhkd는 X11에서 동작하는 간단한 X 핫키 데몬입니다. - 사용자가 정의한 키 조합에 따라 명령어나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주로 타일링 윈도우 매니저와 함께 사용되지만, 독립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설치 방법: `sudo dnf install sxhkd`
4. Input Remapper (GNOME 확장 기능) - Input Remapper는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확장 기능입니다. - 키보드와 마우스 버튼에 대한 사용자 정의 매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GNOME 확장 기능을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GNOME Tweaks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Fedora에서 사용자 정의 키 매핑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각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사용 방법이 조금씩 다르므로, 자신의 필요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Mac의 Karabiner-Elements와 가장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Autokey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타일링
1
2
3
4
5
6
7
8
9
| Fedora의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간단한 윈도우 타일링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Windows의 PowerToys와 같이 고급 사용자 정의 타일링 기능을 원한다면, 다음과 같은 확장 기능(extensio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gTile - gTile은 GNOME 셸용 타일링 확장 기능으로, 윈도우를 격자 모양으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정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키보드 단축키를 할당하여 빠르게 윈도우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 - 설치 방법: GNOME 확장 기능 웹사이트(https://extensions.gnome.org/)에서 "gTile"을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Tiling Assistant - Tiling Assistant는 GNOME에서 윈도우 타일링을 도와주는 확장 기능입니다. -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여 윈도우를 쉽게 조작하고 정렬할 수 있습니다. - 설치 방법: GNOME 확장 기능 웹사이트에서 "Tiling Assistant"를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3. ShellTile - ShellTile은 GNOME 셸용 동적 타일링 확장 기능으로, i3wm과 유사한 타일링 경험을 제공합니다. - 커스텀 레이아웃, 키보드 단축키, 갭 조정 등 다양한 사용자 정의 옵션을 제공합니다. - 설치 방법: GNOME 확장 기능 웹사이트에서 "ShellTile"을 검색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위의 확장 기능들은 모두 오픈 소스이며, GNOME 확장 기능 웹사이트나 Fedora의 패키지 관리자(dnf)를 통해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확장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GNOME 확장 기능 관리 도구를 설치해야 합니다:
```sudo dnf install gnome-extensions-app```
설치 후, "GNOME 확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원하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타일링 확장 기능이 존재하므로, 자신의 작업 방식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윈도우 젤리처럼 흔들림
1
2
3
4
5
6
7
| Fedora의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창을 흔들 때 나타나는 젤리 같은 효과는 "Wobbly Windows" 효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효과는 창을 이동하거나 크기를 조정할 때 창이 물리적인 특성을 가진 것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과거에는 Compiz나 Beryl과 같은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에서 Wobbly Windows 효과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신 버전의 GNOME에서는 이 효과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대신, GNOME 셸의 "Wobbly Windows" 확장 기능을 설치하여 이 효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확장 기능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NOME 확장 기능 관리 도구 설치:
|
sudo dnf install gnome-extensions-app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2. "GNOME 확장" 애플리케이션 실행
3. 브라우저에서 GNOME 셸 확장 기능 웹사이트(https://extensions.gnome.org/)에 접속
4. 검색창에 "Wobbly Windows"를 입력하고 해당 확장 기능을 찾습니다.
5. 확장 기능 페이지에서 "ON" 버튼을 클릭하여 확장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6. GNOME 셸을 재시작하거나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이제 창을 이동하거나 크기를 조정할 때 Wobbly Windows 효과가 나타날 것입니다.
참고로, Wobbly Windows와 같은 시각적 효과는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저사양 컴퓨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이 효과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선택되지 않은 창 반투명하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Fedora의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선택되지 않은 모든 창을 반투명하게 처리하는 기능은 "Inactive Window Transparency" 효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효과를 사용하면 현재 선택된 창을 제외한 모든 창이 반투명해져서 선택된 창에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No Overview" GNOME 셸 확장 기능을 설치해야 합니다. 확장 기능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GNOME 확장 기능 관리 도구 설치:
Copy codesudo dnf install gnome-extensions-app
"GNOME 확장" 애플리케이션 실행
브라우저에서 GNOME 셸 확장 기능 웹사이트(https://extensions.gnome.org/)에 접속
검색창에 "No Overview"를 입력하고 해당 확장 기능을 찾습니다.
확장 기능 페이지에서 "ON" 버튼을 클릭하여 확장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GNOME 셸을 재시작하거나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확장 기능의 설정에서 "Inactive Window Transparency" 옵션을 활성화하고, 투명도 수준을 조정합니다.
이제 선택되지 않은 모든 창이 설정한 투명도로 표시될 것입니다.
"No Overview" 확장 기능은 다양한 창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Inactive Window Transparency"는 그 중 하나입니다. 이 확장 기능은 다른 유용한 옵션들도 제공하므로, 필요에 따라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투명 창 효과는 시각적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 사용자는 이 효과가 산만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작업 방식과 선호도에 따라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 댓글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남겨보세요. GitHub 로그인
🔧 댓글 시스템 설정이 필요합니다
GitHub Discussions 기반 댓글 시스템을 활성화하려면:
GISCUS_SETUP_GUIDE.md
파일의 안내를 따라 설정 완료Repository 관리자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모든 방문자가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