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브릿지 모드가 뭐임?

공유기 브릿지 모드가 뭐임?

Summary 브릿지 모드는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확장하고 관리하는 기술로, 여러 공유기를 사용할 때 중복 IP 할당을 방지합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NAT 기능 비활성화, 단순 연결, IP 할당 기능 제거가 있으며, 주로 넓은 공간에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하거나 이중 NAT 문제를 피할 때 유용합니다. 브릿지 모드를 적용하면 네트워크 구조가 간소화되고 성능이 향상되며, 모든 장치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속하게 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JmuShUFunM

브릿지 모드란?

브릿지 모드는 공유기의 특별한 작동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확장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모드에서 공유기는 일반적인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대신 네트워크 신호를 단순히 ‘다리’처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브릿지 모드는 여러 공유기를 사용할 때 중복 IP 할당을 방지하고 네트워크를 단순화하는 기술입니다.”

브릿지 모드의 주요 특징

  1. 네트워크 확장: 기존 네트워크의 물리적 범위를 확장합니다.
  2. NAT 기능 비활성화: 일반적으로 공유기가 수행하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기능을 끕니다.
  3. 단순 연결: 두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단순히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4. IP 할당 기능 제거: 자체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지 않습니다.

브릿지 모드의 사용 사례

브릿지 모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여러 개의 공유기를 연결하여 넓은 공간에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할 때
  •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의 모뎀-공유기 콤보 장치와 별도의 공유기를 함께 사용할 때
  • 네트워크 구조를 단순화하고 이중 NAT 문제를 피하고자 할 때

브릿지 모드 네트워크 구조

브릿지 모드를 사용한 네트워크 구조를 시각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graph LR
    A[인터넷] --- B[모뎀]
    B --- C{공유기 1<br/>브릿지 모드}
    C --- D[공유기 2<br/>일반 모드]
    D --- E[장치 1]
    D --- F[장치 2]
    D --- G[장치 3]

    style A fill:#87CEFA,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B fill:#90EE90,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C fill:#FFB6C1,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D fill:#FFD700,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E fill:#D3D3D3,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F fill:#D3D3D3,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G fill:#D3D3D3,stroke:#333,stroke-width:2px

브릿지 모드 네트워크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graph TD
    subgraph "브릿지 모드 적용 전"
        A1[인터넷] --- B1[1.725.68.1<br/>공인 IP]
        B1 --- C1[공유기 1<br/>192.168.45.1]
        C1 --- D1[공유기 2<br/>192.168.55.1]
        C1 --- E1[장치들<br/>192.168.45.x]
        D1 --- F1[장치들<br/>192.168.55.x]
    end

    subgraph "브릿지 모드 적용 후"
        A2[인터넷] --- B2[1.725.68.1<br/>공인 IP]
        B2 --- C2[공유기 1<br/>브릿지 모드]
        C2 --- D2[공유기 2<br/>192.168.55.1]
        D2 --- E2[모든 장치들<br/>192.168.55.x]
    end

    style A1 fill:#87CEFA,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B1 fill:#90EE90,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C1 fill:#FFB6C1,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D1 fill:#FFB6C1,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E1 fill:#D3D3D3,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F1 fill:#D3D3D3,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A2 fill:#87CEFA,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B2 fill:#90EE90,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C2 fill:#FFD700,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D2 fill:#FFB6C1,stroke:#333,stroke-width:2px
    style E2 fill:#D3D3D3,stroke:#333,stroke-width:2px

다이어그램 설명

브릿지 모드 적용 전:

  • 공인 IP (1.725.68.1)에 공유기 1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 공유기 1 (192.168.45.1)에 공유기 2 (192.168.55.1)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 장치들은 각각의 공유기에 연결되어 다른 IP 대역을 사용합니다.
  • 공유기 1에 연결된 장치들은 192.168.45.x 대역을 사용합니다.
  • 공유기 2에 연결된 장치들은 192.168.55.x 대역을 사용합니다.

브릿지 모드 적용 후:

  • 공유기 1이 브릿지 모드로 전환됩니다.
  • 공유기 1은 단순히 신호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공유기 2 (192.168.55.1)가 모든 네트워크 관리를 담당합니다.
  • 모든 장치들이 공유기 2의 단일 네트워크 (192.168.55.x)에 연결됩니다.

브릿지 모드의 장점

  1. 네트워크 단순화: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를 간소화합니다.
  2. 이중 NAT 방지: 네트워크 주소 변환이 한 번만 일어나므로 성능이 향상됩니다.
  3. 기능성 유지: 두 번째 공유기의 모든 고급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유연한 네트워크 확장: 필요에 따라 쉽게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5. 단일 네트워크: 모든 장치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속하게 됩니다.
  6. IP 충돌 방지: 하나의 공유기만 IP를 할당하므로 중복 할당이 없습니다.
  7. 간편한 관리: 네트워크 설정과 관리가 한 곳(공유기 2)에서 이루어집니다.
  8. 향상된 연결성: 모든 장치가 서로 쉽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결론

브릿지 모드는 네트워크 관리자와 홈 네트워크 사용자 모두에게 유용한 도구입니다. 네트워크 구조를 단순화하고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주며, 특히 여러 공유기를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서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올바르게 설정된 브릿지 모드는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브릿지 모드를 적용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첫 번째 공유기의 IP 대역(예: 192.168.45.x)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모든 장치는 두 번째 공유기의 IP 대역(예: 192.168.55.x)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가 간소화되고, 모든 장치 간의 통신이 원활해집니다.

💬 댓글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남겨보세요. GitHub 로그인

🔧 댓글 시스템 설정이 필요합니다

GitHub Discussions 기반 댓글 시스템을 활성화하려면:

  1. Giscus 설정 페이지에서 설정 생성
  2. GISCUS_SETUP_GUIDE.md 파일의 안내를 따라 설정 완료
  3. Repository의 Discussions 기능 활성화

Repository 관리자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모든 방문자가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